1. 무더위 시간대는 외출 자제! '피할 수 없으면 대비하라'
폭염특보가 발효되는 여름철에는 낮 12시부터 오후 5시 사이,
햇볕이 가장 뜨거운 시간대에는 외출을 피하는 것이 최선의 건강관리법입니다.
특히 노약자나 만성질환자, 임산부, 어린이 등은 이 시간에 야외활동을 삼가야 합니다.
부득이하게 외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 챙이 넓은 모자
- 자외선 차단제
- 양산
- 통풍이 잘되는 밝은색 옷
- 물병을 반드시 준비해야 합니다.
또한,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실외에서 잠깐이라도 햇빛을 받는다면,
그늘진 장소를 주기적으로 찾고, 체온이 오르는 것을 느끼면 즉시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2. 수분 섭취는 '충분히, 자주, 미리' 하는 것이 핵심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철에는 탈수가 매우 쉽게 일어납니다.
하지만 ‘목이 마르기 전에 물을 마시는 습관’을 들이지 않으면
몸은 이미 수분 부족 상태에 도달한 후일 수 있습니다.
올바른 수분 섭취 요령:
- 2시간마다 1컵 이상 물 마시기
- 카페인 음료는 탈수를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
- 스포츠 음료는 땀을 많이 흘린 뒤 섭취 시 효과적
- 노인층은 갈증을 잘 느끼지 못하므로 의식적으로 물을 챙겨 마셔야 함
단, 무리한 수분 보충은 위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한 번에 다량으로 마시기보다 소량씩 자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냉방병 예방을 위한 실내 온도 관리법
더위를 피하기 위해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오히려 냉방병, 근육통, 두통, 소화불량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내 환경 조절이 필요합니다.
- 실내 온도는 26~28도 유지
- 냉방기구는 사람을 직접 향하지 않도록 배치
- 1~2시간마다 창문을 열어 환기
- 실내외 온도차는 5~7도 이하로 유지
특히, 잠들기 전에는 냉방기 타이머를 설정하거나 얇은 담요를 덮고 자는 것이 냉방병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4. 여름철 식중독 주의! 음식 보관과 섭취 시 유의점
기온이 30도를 넘는 폭염에는 음식물 속 세균이 빠르게 증식합니다.
이로 인해 여름철에는 식중독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음식 보관과 섭취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꼭 기억해야 할 점:
- 익힌 음식은 바로 냉장 보관
- 냉장고 보관 시간도 지나치게 길지 않게
- 조리 전후 손 씻기 철저히 하기
- 냉장·냉동식품은 구매 후 30분 이내 냉장고 보관
특히, 도시락이나 외부에서 식사를 준비할 경우,
날것보다는 완전히 익힌 음식 위주로 구성하고 보냉팩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5. 폭염 속 취약계층 돌봄, 우리 모두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폭염은 특히 노인, 독거노인, 장애인, 노숙인, 야외 근로자 등 취약계층에게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무더위 쉼터, 생수 지원 등 다양한 폭염 대응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니
주변의 도움이 필요한 분들에게 이러한 정보를 전하고, 함께 챙기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또한,
- 119나 주민센터에 긴급 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안내하거나
- 무더위 쉼터 위치를 공유하거나
- 길거리에서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분이 있다면 응급조치를 안내해드리는 등
우리의 작은 관심과 배려가 누군가의 생명을 지킬 수도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
기록적인 폭염이 지속되는 여름,
단순히 더위를 피하는 것을 넘어서
지혜롭게 건강을 관리하고, 함께 더불어 사는 여름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루 10분의 물 챙기기, 실내온도 조절, 주변을 향한 작은 관심,
이 모든 것이 여름을 안전하게 보내는 실천입니다.
오늘도 시원하고 건강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