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생충, 가진 것과 환경에 따른 사람의 행동 변화

by sun_story 2024. 7. 1.
반응형

 

 

 

1. 불가피한 얽힘: 기택과 박사장, 그들의 만남과 교차로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은 2019년 개봉과 함께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키며, 이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등 총 4개의 주요 상을 수상했습니다. 기생충의 스토리는 한편으로는 블랙 코미디 같고, 다른 한편으로는 충격적인 비극으로 다가오며, 특히 빈부격차와 계층 간 갈등을 날카롭게 파고듭니다. 이 이야기는 실직한 기택(송강호) 가족이 대저택에 살며 부유한 생활을 누리는 박사장(이선균) 가족과 엮이게 되면서 시작됩니다.

 

 기택의 아들 기우(최우식)가 영어 과외 선생으로 고용되면서 두 가족은 얽히기 시작하고, 기우는 차례로 가족 구성원들을 박사장 가족에게 소개하여 고용되게 만듭니다. 기우의 동생 기정(박소담)은 미술 심리치료사로, 아버지 기택은 운전사로, 어머니 충숙(장혜진)은 가정부로 들어가게 되면서 이들 가족은 박사장 집안에 깊숙이 자리 잡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기택 가족은 비밀을 숨기고, 각자의 역할을 연기하며 계급 상승을 꿈꾸지만, 그들의 ‘기생’은 금세 복잡한 갈등과 충돌로 치닫게 됩니다.

 

 영화의 시작과 함께 빈민가에 사는 기택 가족이 하층 계층의 삶을 대변하는 모습은 보는 이로 하여금 자연스레 공감을 이끌어냅니다. 반지하에서 살아가며 하수구에서 흘러오는 물이 바로 생활을 위협하고, 근근이 생계를 유지하려 애쓰는 그들의 모습은 현대 사회의 빈곤층이 직면한 일상을 비추는 거울과도 같습니다. 반면, 박사장 가족은 대저택에서 화려한 생활을 누리고, 언제나 사생활이 보장되는 독립된 공간에서 생활합니다. 이러한 두 가족의 대비는 영화 초반부터 이들 사이에 감정적, 사회적 벽이 있음을 강조하며, 관객에게 두 가족의 충돌이 불가피함을 예고합니다.


2. 물과 기름처럼: 빈부격차와 계층 간 갈등의 상징적 표현

 기생충은 빈부격차라는 주제를 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상징적 장면과 세밀한 디테일을 사용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비오는 밤의 장면은 영화의 전환점이자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기택 가족이 집으로 돌아왔을 때, 폭우로 인해 그들의 반지하 집은 물에 잠기게 됩니다. 이 장면은 기택 가족의 빈곤과 불안정한 상황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며, 그들이 아무리 노력해도 환경적, 사회적 제약에서 벗어나기 어려움을 강조합니다.

 

 반면, 같은 날 박사장 집에서는 우아한 파티가 열리고 있습니다. 이 장면에서 부유한 계층이 얼마나 보호받는 환경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자연의 재해조차도 그들에게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상징적으로 드러냅니다. 이로 인해 관객은 자연스럽게 부유층과 빈곤층 사이의 큰 격차를 느끼게 됩니다. 또한, 계단과 층의 차이를 통해서도 계층 간의 간극이 강조됩니다. 기택 가족이 반지하에서 살아가며 지하로 내려가는 계단은 빈곤한 현실을 상징하고, 반면 박사장의 저택은 높은 언덕에 위치하여 사회적으로 우월한 위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냅니다.

 

 이러한 시각적 대비를 통해 기생충은 계층 간 갈등과 빈부격차의 문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화는 단순히 경제적 격차를 넘어, 부유층과 빈곤층이 서로의 삶에 대해 이해할 수 없는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강조하며, 그들 사이의 화해가 어려움을 드러냅니다. 이를 통해 감독은 현대 사회가 마주한 구조적 불평등과 그로 인한 갈등이 단순히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 전반에 걸친 문제임을 전달하려 했습니다.


3. 기생과 공존의 모순: 인간 본성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

 기생충의 또 다른 중요한 주제는 ‘기생’과 ‘공존’에 대한 고찰입니다. 기택 가족은 박사장 가족의 삶에 기생하며, 자신들이 결코 가질 수 없는 부와 안정감을 잠시나마 누리게 됩니다. 이와 동시에, 그들의 행동은 결국 서로에게 해를 입히며 파국으로 치닫게 됩니다. 이는 인간 본성의 양면성을 드러내며, 사회가 만들어낸 불평등이 인간 사이의 진정한 관계를 방해하는 요소가 됨을 보여줍니다.

 

 특히, 기택과 박사장이 서로를 바라보는 방식에서 이들이 결코 서로를 진정으로 이해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기택이 느낀 불만과 분노는 영화의 후반부에서 폭발하며, 이 장면은 관객에게 충격과 긴장감을 전달합니다. 이는 또한, 불평등한 사회 구조가 필연적으로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는 감독의 메시지를 강렬하게 전달합니다.

 

 영화 속의 인물들은 서로를 필요로 하면서도 거부하는 모순적인 관계를 보여주며, 이를 통해 현대 사회의 불안정한 공생 관계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부유층이 제공하는 경제적 기회와 빈곤층이 제공하는 노동이 서로를 필요로 하지만, 결코 진정한 상호 이해와 화합을 이루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는 현대 사회에서 자본주의 구조가 인간 관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며, 빈곤층의 생존과 부유층의 안락함이 서로 ‘기생’하는 관계임을 보여줍니다.

 

 기생충은 단순한 오락 영화로서의 역할을 넘어, 사회적 불평등과 인간 본성에 대한 심도 깊은 통찰을 관객에게 전달합니다. 영화는 세계 각국에서 공감대를 형성하며 한국 영화의 위상을 세계적으로 드높였고, 봉준호 감독의 뛰어난 연출력과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영화의 영향력은 오랫동안 기억될 것입니다.

반응형